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솔로몬 항공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0deg, #0050bb 21%, #fff 21%, #fff 24%, #0050bb 24%, #0050bb 75%, #fcd20e 75%, #fcd20e 80%, #1b5b2f 8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솔로몬 제도|[[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솔로몬 제도
관련 문서
}}}}}}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솔로몬 항공 로고.svg
솔로몬 항공
Solomon Airlines
부호항공사 호출 부호 (SOLOMON)
IATA (IE) ICAO (SOL) BCC (-)
항공권 식별 번호193
설립연도1962년
허브공항호니아라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5
취항지 수27
마일리지Belama Club[1]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보유 기종
5. 사건사고



1. 개요[편집]


솔로몬 제도의 국영 항공사이자 국책 항공사.

2. 역사[편집]


1962년, 전세 항공사인 메가포드 항공(Megapode Airlines)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맥에어(Macair)에서 메가포드 항공을 인수했으며 사명을 솔로몬 제도 항공(Solomon Islands Airways)으로 변경했으며 드 해빌랜드 도브와 비치크래프트 바론으로 정기 비행편 운항을 시작했다. 1975년 모회사 맥에어가 탈에어에 인수되었고 이듬해 솔로몬 제도 정부가 항공사 주식의 49%를 인수했다. 1984년 솔로몬 제도 정부가 모든 주식을 인수하며 국유화 되었고 동시에 탈에어에서 리스했던 DHC-6EMB-110을 반납했다.

국유화 이후 솔로몬 제도 항공은 DHC-6 2기를 도입했으며 사명을 솔로몬 항공으로 변경했다. 콴타스와의 합작 투자 이후 에어 퍼시픽에서 보잉 737을 리스하며 첫 제트기를 도입했다. 1989년 에어 퍼시픽이 보잉 737을 보잉 767으로 대체하려고 하자 조인트 밴처를 맺었던 솔로몬 항공도 ILFC에서 보잉 737을 리스했다. 1999년 부건빌 내전 이후 유엔의 제재로 국제선 노선 운항에 차질을 빚었으나 추후 재기에 성공했다.

2006년에는 보잉 737-300을, 2009년에는 DHC-8을 리스했으며 2009년 호주의 스트래티지 항공에서 A320을 리스했다.

3. 취항지[편집]


국제선
국가취항지
호주브리즈번 · 시드니
피지난디
키리바시타라와
바누아투포트빌라
국내선
솔로몬 제도아토이피 · 아우키 · 아부아부 · 발랄라에 · 벨로나 · 최슬 · 페라 · 기조 · 호니아라(허브) · 카가우 · 키라키라 · 마라우 · 음밤바나키라 · 모노 · 문다 · 가토카에 · 온통자바 · 사우스말라이타 · 라마타 · 렌넬 · 산타아나 · 산타크루즈 · 세게 · 수아바나오 · 울라와 · 얀디나

4. 보유 기종[편집]


제작사기종보유 대수비고
에에버스A320-2001
드 해빌랜드 캐나다DHC-6-3003
DHC-8-1001

5. 사건사고[편집]


  • 1978년 10월 22일, 악천후 때문에 벨로나로 회항하던 BN-2가 조종사의 과실로 추락해 탑승했던 11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91년 9월 27일, DHC-6가 조종사의 과실로 내슈아산에 추락했다. 탑승했던 15명 전원이 사망했다.
  • 2000년 9월 16일, 음밤바나키라에 착륙한 BN-2와 조종사가 무장 단체에 의해 억류되었다. 무장 단체는 200만 솔로몬 달러를 요구했었다. 조종사는 10월 6일 석방되었으나 조종사와 같이 억류되었던 BN-2는 끝내 찾지 못했다



[1] 코로나 19로 인한 중지.